
금융자산 10~20억원을 보유한 3040 신흥부자가 전체 부자의 18.4%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KB금융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22 한국 부자보고서'에 따르면 이제 막 부자에 진입한 개인을 의미하는 신흥부자들은 2021년 기준 7만8000명에 이른다.
이들이 보유한 금융자산규모는 99조 5000억 원으로 부자의 총금융자산 중 3.5%를 차지했다. 신흥부자들의 부의 원천은 32.2%가 '사업소득'으로 가장 많았고, '부동산투자'(26.4%), '상속·증여'(20.7%) 순이었다. 전통부자에 비해 부동산투자나 상속·증여를 부의 원천이라고 꼽은 경우가 더 많았다.
신흥부자는 부를 축적하기 위한 종잣돈의 규모를 7억원이라고 응답했으며, 이들이 종잣돈을 모았던 주된 방법은 전통부자에 비해 '근로소득을 모아서'(+14.8%p), '부모로부터의 지원·증여·상속으로'(+11.4%p)라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7억원 정도의 종잣돈을 만든 후 현재의 부를 이루기까지 자산을 증식시켰던 가장 주된 방법은 주식(54.0%) 투자였고, 다음은 거주용 외 아파트(36.8%), 예적금(31.0%), 거주용 부동산(24.1%) 등이었다.
전통부자와 비교하면 신흥부자는 주식(+10.3%p)과 예적금(+3.4%p)의 금융상품을 활용하거나, 금·보석, 디지털자산 등 기타자산(+3.6%p)으로 자산을 키운 경우가 더 많았다.
신흥부자가 부동산투자로 자산을 키운 경우는 다세대·연립·빌라(1.7%p)에 투자한 경우였고, 이외 재건축아파트, 상가, 토지 등 부동산에 투자해 현재의 부를 축적한 경우는 전통부자였다.

전통부자의 66.2%가 스스로를 부자라고 생각하는 반면 신흥부자는 26.4%만이 스스로를 부자라고 생각했다. 보고서는 "부자에 진입한지 얼마되지 않은 시기임을 고려할 때 향후 좀더 많은 자산을 모으는데 노력할 것임을 미루어 파악할 수 있다"고 했다.
신흥부자는 부자의 미래상으로 '자산을 성장시키는 부자'(19.5%)와 '돈으로부터 자유로운 부자'(19.5%)를 지향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전통부자가 자산 이외의 '자기계발에 노력하는 부자'(24.6%)를 지향하는 것과 차이가 있었다.
한편, '한국에서 부자라면 얼마 정도의 자산을 가지고 있어야 할까요?'라는 질문에는 금융과 부동산 등 모든 자산을 포함해 '총자산 100억원이상'은 있어야 부자라고 생각한다는 응답이 27%로 가장 많았다.
김상록 기자 kdf@kdf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