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상장 대기업들의 여성 임원 비율을 2030년까지 30% 이상으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5일 NHK에 따르면, 일본 총리 직속 내각부는 이날 평등한 기업문화 논의를 위한 남녀공동참가회의를 열고 '여성 활약·남녀 공동참가 중점 방침 2023'을 채택했다.

도쿄증권거래소의 최상위 프라임시장에 상장하는 대기업의 경우 2025년까지 여성 임원을 1명 이상 선임하도록 요구했으며, 2030년까지 '여성 임원 30% 이상 선임'이란 목표를 세웠다.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올해 안에 도쿄증권거래소 상장사 규칙에 이 같은 내용을 담도록 독려하기로 했다.

현재 301명 이상 근무하는 기업에 부여했던 남녀간의 임금 격차 정보 공개의 의무도 101명 이상의 기업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밖에도 배우자 등의 폭력과 성범죄·성폭력, 그리고 직장 내 갑질 행위를 방지하는 대책도 강화시켰다.
한편, 내각부에 따르면 일본 전체 상장사 여성 임원은 2012년 630명에서 2022년 3654명으로 10년 새 6배 가까이로 늘었다. 여성 임원이 1명도 없는 상장사는 2013년 84.0%에서 2021년 33.4%로 줄었지만 주요 대기업 여성 임원 비중은 15.5%에 그친다.

이는 프랑스(45.2%) 노르웨이(43.2%) 영국(40.9%) 독일(37.2%) 미국(31.3%) 등 다른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글 = 이태문 도쿄특파원 kdf@kdfnews.com
저작권자 © 한국면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