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그룹이 8일 코엑스에서 ‘신세계 유니버스 페스티벌’을 열고 고객에게는 체감할 수 있는 멤버십 혜택을, 파트너사들을 위해서는 윈윈할 수 있는 파트너십 체계를 공개했다.

강희석 이마트 대표·SSG닷컴 공동대표는 "현재 한국 유통시장은 디지컬(Digital+Physical) 리테일 시대로 변모했다"고 정의하며, 온오프라인이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소비자는 양 공간을 자유로이 넘나들며 다양한 경험을 추구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런 소비자들의 특성과 다양한 고객 니즈를 채울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것이 신세계 유니버스"라고 밝혔다.

소비자를 위한 통합 멤버십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 혜택은 ‘가입과 동시에 가입비만큼의 현금성 혜택 제공'과 '온·오프라인 어디서든 5% 할인'으로 요약할 수 있다.
6개 계열사에서 제공하는 할인과 무료 식음료 등을 두루 받는다면 1년에 200만 원 이상의 혜택을 누리게 된다. 회원들에게 연말 보너스처럼 돈을 벌어주는 멤버십이라고 설명한다.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 가입비는 연간 3만 원이다. 멤버십에 참여하는 6개 계열사 중 어디로 가입해도 3만 원어치 혜택은 돌려받는다. 멤버십 가입자에게는 SSG닷컴 G마켓 이마트 신세계백화점 신세계면세점 모두 3만 원의 캐시가 지급된다. 스타벅스를 통해 가입한다면 제조음료쿠폰 5장을 받는다.
어떤 채널로 가입하든 ‘5% 할인’ 혜택은 이마트·신세계백화점·SSG닷컴· G마켓에서 누릴 수 있다.
신세계면세점에서는 시내 면세점-공항 면세점-온라인 면세점에서 각각 쓸 수 있는 1만 원 할인 혜택을 받는다. 최대 15% 할인을 받을 수 있는 ‘GOLD 등급’ 혜택도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 회원 모두에게 적용된다.
이인영 SSG닷컴 공동대표는 “신세계 유니버스 클럽 하나면 일상과 연계된 많은 영역에서 혜택을 볼 수 있도록 설계됐고 혜택 영역은 점차 확대될 것이란 점에서 비교 불가능한 최고 멤버십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멤버십과 함께 ‘신세계 유니버스’를 이루는 핵심 축은 파트너십이다. 신세계그룹과 관계를 맺고 있는 크고 작은 파트너사는 약 85만 곳으로 국내 판매업자 중 절반에 달한다. 신세계그룹은 파트너사와의 동반 성장에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 혁신적 멀티 플랫폼에 기반한 신세계 유니버스가 발전할수록 파트너사에게도 혜택이 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세계그룹은 신세계 유니버스 확장에 발맞춰 파트너사에게 최적의 성장 전략을 소개한다. 온·오프 통합 광고 전략을 비롯해 다각화된 마케팅 솔루션이 성장 전략 중 하나다. 온·오프라인 쌍방향 판로 제공도 신세계 유니버스의 특장점을 극대화한 상생 성장안이다.

SSG닷컴의 이인영 공동대표는 "신세계백화점의 DNA를 가진 SSG닷컴은 입점한 판매자에게는 이마트 등 오프라인 매장으로 판로를 열어줄 수 있고, 오프라인 위주로 상품을 납품하는 업체에게는 온라인 판매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판로가 늘어날수록 파트너사는 물론 다양한 상품을 다양한 경로로 접하는 고객에게도 이득이다"라고 신세계 유니버스에서 파트너사와 고객들이 얻을 수 있는 혜택을 설명했다.
한편 G마켓의 전항일 대표는 "신세계그룹의 통합 멤버십과 데이터 활용, 온·오프라인을 잇는 역할까지 막대한 데이터를 축적한 G마켓이 중심이 될 것"이라고 각오를 드러냈다.

강희석 대표는 타사 대비 신세계 유니버스 경쟁력에 대해 "신세계 유니버스 멤버십을 잘 쓰면 연봉 5% 올라가는 혜택받을 수 있다. 외연 확장을 위해 금융 파이낸셜 서비스 등의 파트너십을 구축할 예정이다. 여행 관련해 대한항공, 통신에 있어서 KT 두 회사와 파트너십을 구축해 사용자들의 관점에서 보면 마일리지, 포인트 스왑 등이 가능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이후 꾸준히 여행 분야나 OTT와도 연계를 추진해 갈 것이다"라고 향후 신세계 유니버스의 확장성을 밝혔다.
글·사진 이수빈 기자 kdf@kdf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