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FnC가 폐의류와 재고의 의류 소재화를 위한 ‘서큘러 패션’ 비즈니스 도입에 첫 발을 뗀다.

서큘러 패션, 일명 순환 패션은 코오롱FnC가 ESG 경영철학으로 내세운 리버스(rebirth)의 구체적 실현 방법이다. 그동안 업사이클링 기반 패션 브랜드 래코드를 통해 패션 재고를 다시 패션 상품으로 되살려 가장 패션회사다운 지속가능성을 보여줬다. 서큘러 패션은 이를 패션 밸류 체인으로 확장, 비즈니스적 측면에서 서큘러 패션의 가능성을 가늠하겠다는 시도다.
코오롱FnC는 지난 해 패션 임팩트 비즈니스를 전개하는 소셜 벤처 ‘KOA(케이오에이)’를 인수, 그 바탕을 마련했다. KOA가 몽골에서 진행한 지속가능 캐시미어 소재 사업에서 착안, 폐의류와 재고를 다시 의류 소재화하는 서큘러 패션 확장판을 고안하게 되었다.
코오롱FnC는 이제 자회사가 된 KOA를 통해 코이카(KOICA, 한국국제협력단)와 ‘몽골•베트남 폐의류•재고 Textile to Textile 서큘레이션 센터 구축사업’을 위한 MOU를 12일 체결했다.
코이카가 '22년부터 진행해 온 ‘코이카 플랫폼 ESG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시작됐다. 환경, 사회, 지백구조 등 비재무적 요소인 ESG가 기업의 중요한 경영전략으로 떠오르는 상황에서 기업의 자본과 아이디어, 코이카의 국제개발협력 경험을 결합, 원조의 효과를 배가하겠다는 프로젝트다.
코오롱FnC와 코이카는 코오롱FnC의 자회사 ‘KOA’의 전문성을 활용, 폐 캐시미어의 재생을 위한 서큘레이션 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서큘레이션 센터에서는 캐시미어 단일 소재의 폐의류, 의류를 제작하고 남은 원단, 재고 의류 등을 수거 및 색상과 용도별 분류, 재사용을 위한 사전 작업 등을 진행한다. Textile to Textile의 재생 방식을 채택하여 섬유 순환 센터로 발전시킨다는 계획이다.
현지의 패션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서큘러 패션에 대한 인식개선 교육, 패션전공 학과 내 서큘러 패션 과목 개설 지원 등의 지원도 계획 중에 있다. 코오롱FnC와 코이카는 올 해 현지 심층 조사를 진행 한 후, 사업 내용을 더욱 구체화하여 2024년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코오롱FnC는 베트남에도 서큘레이션 센터를 건립, 캐시미어 외의 타 소재 확장도 염두하고 있다.
사진 코오롱FnC
이수빈 기자 kdf@kdf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