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사드배치’ 국제 갈등에 韓 관광·면세시장은 ‘우려’
상태바
[이슈] ‘사드배치’ 국제 갈등에 韓 관광·면세시장은 ‘우려’
  • 김선호
  • 승인 2016.02.25 13: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일 의원회의 4년 만에 재개, ‘온기류’ 감지돼
한·중 ‘사드 배치’로 갈등 일로...관광·면세산업 ‘불똥’ 우려


KakaoTalk_20160224_132047341

중국 일본 간의 국제 관계에 ‘온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일본 참의원 의회 간 교류 ‘중·일 의원회의’가 약 4년 만에 재개됐기 때문이다. 중국 언론 ‘신화통신’은 22일 일본 참의원 초당파 의원단이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양국 간 관계를 비롯 교류, 경제·무역 관계, 환경보호 협력, 인문 교류 및 국제·지역 문제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라고 보도했다.

중·일 양국 간 관계를 회복하는 데 충분한 시간과 넘어야 할 요소는 많으나 점차적으로 회복 기미를 보이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한·중 간 관계는 ‘사드 배치’ 논란으로 인해 갈등 일로를 걷고 있어 중국인 관광객의 의존도가 높아진 국내 관광산업에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방일 중국인 관광객 수치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어 국내 관광산업에 ‘적신호’로 여겨지고 있다.

방한 중국인 관광객은 2015년 약 598만명으로 전년(약 613만명) 대비 2.3%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 2015년 방일 중국인 관광객은 약 499만명으로 전년(약 241만명) 대비 107.3%로 급격한 상승세를 보였다. 작년 일본의 ‘엔저현상’과 한국의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으로 인해 일본 관광시장이 중국인 관광객 특수를 누린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한 향후에도 중·일 간 관계에서 ‘온기류’가 감지되는 만큼 일본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이 지속적인 호조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도 가능해지고 있는 것이다.

KakaoTalk_20160224_123005049 제작: 권정일 기자

 

반면, 한국의 관광산업 및 중국인 관광객의 의존도가 높은 국내 면세점 매출에는 점차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상태다. 한·중 간 ‘사드 배치’ 논란으로 갈등 일로를 걷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악영향이 국내 관광산업에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중 간 갈등이 지속적으로 악화될수록 작년 국내 관광수지 적자가 올해에도 이어질 것이라는 예측도 가능하다.

‘혼란기’에 접어든 국내 면세시장에 한·중 관계 갈등의 불똥이 튈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한·중 ‘사드 배치’ 논란이 가중돼, 만약 중국 정부에서 한국 관광 제재 조치, 중국 내 공항 세관대에서 면세물품 검수 강화를 하게 되더라도 국내 면세점 매출은 반토막날 가능성이 높다.

중국 정부는 하이난 면세점 및 자국 공항 내 입국장 면세점을 확충 및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어 화제다. 하이난 면세점 및 입국장 면세점 이용 시 면세한도를 기존 5000위안에서 8000위안으로 상향조정했다. 또한 중국인 관광객들의 자국 소비 증진 및 쇼핑 편의를 위해 입국장 면세점을 기존 베이징과 상하이 두 곳에서 19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즉 세계 면세시장의 ‘큰 손’으로 여겨지는 중국인 관광객의 해외 소비가 중국 내로 ‘유턴’될 수 있는 조짐을 나타내는 것이다.

관광객이 해외 면세점에서 상품을 구매 시 많은 물품을 여행 동안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있으나, 입국장 면세점이 확충되면 관광지에선 ‘여행’만 즐기고 쇼핑은 자국에서 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즉 중국인 관광객 의존도가 높은 국내 면세시장이 전망이 어두워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일본은 ‘관광 선진국’을 발판으로 면세시장 활성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외국인 관광객 중 명품 소비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사후면세점에 이어 럭셔리한 시내면세점을 개점해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최근 쇼핑 1번지 도쿄 긴자에 오픈한 ‘재팬 듀티프리 긴자’가 대표적이다. 일본 관광시장은 이미 ‘문화를 소비할 수 있는 관광지’로 알려져 있는 만큼 이를 더욱 다각화, 외국인 관광객들의 쇼핑 편의까지 더해 관광·면세산업 활성화를 이뤄내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특히 ‘아베노믹스’의 일환으로 정부가 적극 나서 관광 및 면세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중이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17일 “신산업에 투자하겠다는 기업이 제기한 규제애로는 사실관계만 확인되면 모두 개선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예외적으로 타당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만 존치하도록 하는 네거티브 규제방식을 도입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규제 개혁을 통해 경제 체력을 키우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서비스업’ 및 ‘수출 분야’로 여겨지는 관광시장의 꽃 면세산업 관련 규제에 대해선 ‘불투명’한 상태로 남아 있어 업계의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POO_002 사진= 김선호 기자/ 시내면세점 사업운영권 특허를 잃게 된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 관광객들로 북적이고 있는 현장 모습.

 

중·일 정부가 각각 자국의 면세시장 활성화에 나서고 있으나, 국내 면세점은 ‘5년 시한부’ 사업운영권 논란 및 관광인프라 부족으로 몸살을 앓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해 중국인 관광객이 주로 찾는 국내 면세점 두 곳이 문을 닫게 돼 이에 대한 대책 및 향후 방안에도 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먼저 동남아 및 중국에 ‘화커산장’으로 유명한 SK네트웍스 워커힐의 면세점이 오는 5월에 문을 닫게 되며, 롯데면세점 월드타워점 또한 시내면세점 사업운영권을 잃어 6월을 끝으로 매장 문을 최종적으로 닫게 될 위기에 놓였다. 또한 특허를 잃은 두 곳의 면세점 직원들을 비롯해 전국 면세점 직원들은 5년 마다 ‘고용 불안’에 시달리게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면세점 확충 및 지원 방안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중·일 정부와는 다르게 국내 경제 성장 동력 마련을 위해 ‘규제 개혁’을 내세웠으나 국내 면세산업 규제 법안은 ‘불모지’로 남아 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업계에 퍼지고 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