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와 전통의 경계선 어딘가의 내몽골자치구
상태바
현대와 전통의 경계선 어딘가의 내몽골자치구
  • 김선호
  • 승인 2015.10.01 17: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 반가운 외부 손님 

J_001손님을 반기는 몽골의 전통. 낯선 손님이더라도 먼 곳의 중요한 소식들을 들을 수 있어 항상 소중히 대한다. 그래서 몽골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하닥’이라는 비단 천을 손님 목에 걸어준다. 그것이 몽골인들에겐 예의의 표시다.

#2. 말과 바람, 그리고 사람이 함께 하는 생활 

J_002내몽골은 넓은 초원과 하늘만이 존재하는 듯하다. 하지만 그 척박한 생활 속에 말과 사람이 생존을 하고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공존’이다. 혼자 살 수 없다는 것을 절실히 알고 있는 몽골인들은 오래 전부터 초원의 모든 것들과 함께 한다.

#3. 소몰이와 현대화 

J_003현대화가 급속히 진행 중이다. 오래 전엔 소를 목축할 때면 말을 타고 다녔지만, 이제는 모터사이클이 등장했다. 전통이 사라지고 도시에 익숙해지고 있는 내몽골. 그러나 아직 그 속에서도 전통의 흔적들이 곳곳에 남아 있다.

#4. 내몽골자치구의 웃음, 어린이 

J_004어린이들은 그 사회의 미래다. 해맑은 내몽골자치구 어린이의 웃음이 아직 때 묻지 않은 그들의 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아이에게 초원은 생존의 장보단 놀이터에 가깝다. 내리쬐는 땡볕의 더위도 그늘에서 늘어지게 잠을 자고 나면 되는 일이다.

#5. 자동차의 행렬

J_005자동차를 이용하는 사람들도 급증했다. 기동력 등 말보단 자동차가 더 편리하기 때문이다. 대신 승용차보단 짐을 실을 수 있는 넓은 칸이 있는 자동차가 더 인기다. 사무실보단 아직 초원이 내몽골의 생계 수단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6. 아파트 

J_006현대식 아파트. 우리의 눈으로 보기엔 허름해 보일 수 있지만 이들에겐 현대식 건축이다. 사람들이 한 건물 안에 모여 사는 것도 신기할 따름이다. 점차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표식이기도 하지만 도시생활에 내몽골인들도 적응을 하고 있는 것에 의미가 있다.

#7. 청년이 자라나 보게 될 내몽골의 미래 

J_007사회는 변한다. 현대화의 흐름은 이미 내몽골 청년층에겐 더 편하고 익숙한 문화 중 하나다. 굳이 말 타는 법을 배울 필요도, 초원의 삶에 익숙해질 필요도 없는 청년의 생활. 물론 생계를 위한 부분들은 필수적으로 익히게 된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새로운 세대가 내몽골의 모습을 변화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